경제와 투자 / / 2020. 8. 22. 16:33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 집중

반응형

아파트값이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내집마련의 꿈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얼마전 8.4 대책이 발표되고 임대차 3법이 통과되면서 상승세가 다소 주춤해지고 있다고는 합니다.

 

 

 

 

 

새로운 대책이 나온지 아직 얼마 되지 않았으므로 실제 효과가 있는지 지속이 되는지 여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좀 더 기다려 보도록 합시다.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서울 수도권 인구 집중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는 다양합니다. 전 정부의 실책, 현 정부의 실책, 서울 및 수도권의 인구 집중, 언론보도의 영향 등 다양한 이유(원인)가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각각 전 정부의 실책과 현 정부의 실책에 대해서 다루이 보았습니다.

 

https://bookreviewblog.tistory.com/517

 

https://bookreviewblog.tistory.com/519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중 하나인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 집중 현상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5,178만 명입니다.

 

 

 

 

 

그 중 서울의 인구는 971만명, 경기도의 인구는 1,335만명으로 서울과 경기도를 합친 수도권 인구는 2,306만명입니다.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4.5%가 몰려 있습니다.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서울 수도권 인구 집중

 

 

서울의 인구 집중이 특히 더 심각합니다. 서울의 면적 605.2제곱킬로미터로 한국의 면적 100,210제곱킬로미터의 0.6%에 불과합니다. 이 좁은 땅에 한국 인구의 18.7%가 몰려 있으니 아파트값이 오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그래도 서울은 평지의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대한민국 면적의 0.6%에 인구의 18.7%가 몰려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좋은 대학교와 기업들의 본사, 직장이 서울에 몰려 있어 지방 사람들도 서울에 자꾸 오려고 하고 사람들이 서울에 몰리니 그만큼 인프라도 계속 확충되고 그렇게 해서 편리해지는만큼 인구가 또 몰리고 있습니다.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서울 수도권 인구 집중

 

 

서울 및 수도권 인구 집중이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중 하나라면 그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해야 할 것입니다. 요즘 나오는 행정수도 이전 이야기가 바로 그러한 대책 중 하나입니다.

 

국회 및 정부 기관을 세종시로 옮겨 권력을 분산하고 국토균형개발을 꾀하면서 수도권 과밀화도 해소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물론 큰 방향은 옳은데 실제로는 부작용이 많을 것입니다. 수도권 집값은 잡지 못하면서 세종시 아파트 값만 올리는 부작용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서울 및 수도권 인구 집중을 해소하면서 집값도 안정화 시키려면 행정수도 이전을 하면서 따라올 집값 상승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억제책(세제, 대출규제, 공급확대 등)을 동시에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 서울 수도권 인구 집중

 

 

그리고 좀 더 그림을 크게 보면, 행정수도 이전 뿐 아니라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도 등 전국을 몇 개 권역으로 나누어 국토 전체를 발전시키는 플랜을 짜고 실행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수십년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는 일입니다.

 

 

 

 

 

그렇지만 이것이야말로 서울 및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을 해소하여 부동산 폭등 이유(원인)를 근본적을 잡을 수 있는 방안일 것입니다.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데 억누르기만 해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구를 고루 분산시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