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고 사업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합니다. 기업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돈을 조달합니다. 은행 또는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려 돈을 조달할 수도 있고 증자를 통해 돈을 조달할 수도 있습니다.
돈을 빌리면 부채가 늘어납니다. 부재는 이자와 함께 갚아야 하는 돈입니다. 증자를 통해 조달한 돈은 회사의 자본이 되기 때문에 갚을 필요가 없습니다.
증자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을 알아 보겠습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가상의 회사의 자산을 하나 만들어 보았습니다.
발행가격 1만원짜리 주식 100만주가 유통되고 있는, 자본금과 잉여금이 각 백억원씩 있는 회사입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
1.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주식을 발행한 후 이를 기존 주주를 포함한 투자자들에게 팔아서 증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지금 이 회사는 유통주식 100만주에 자본금이 100억원인 회사인데요.
여기서 추가로 주식을 1만원에 50만주 더 발행하여 외부 투자자들에게 판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회사는 자본금을 50억원 더 조달하여 회사의 총 자본금은 150억원이 됩니다. 그리고 주식수는 150만주가 됩니다.
주식수가 늘어나 한 주당 주식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에게는 악재로 여겨집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
2.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회사 외부가 아닌, 회사 내부 자본의 잉여금 중 일부를 자본금으로 편입시키고 그만큼 주식을 발행하여 기존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나누어 주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증자입니다.
이렇게 될 경우의 기존주주들은 공짜로 주식수가 늘어나게 됩다. 물론 회사의 가치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한 주당 주식의 가치가 희석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공짜로 그만큼 더 받았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은 손해볼 것이 없습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는 왜 하는 것일까요?
유상증자는 회사가 신규사업 투자 또는 회사운영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실시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 내부의 자금이 부족할 때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하는 것이라 여러모로 악재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악재를 극복하고 사업의 성장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고 실제로 달성한다면 장기적으로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회사의 잉여금이 많을 때 그 일부를 자본금으로 전환하는 것이라 회사의 재무구조가 튼튼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재로 여겨집니다. 다만 무상증자 발표 후에 추가 상승을 노린 단기 투기가 횡횡할 수 있어 무상증자 호재를 보고 주식을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화학 이슈 - 물적분할 인적분할 차이 알아보기 (0) | 2020.09.24 |
---|---|
전환사채란? 전환사채 발행과 주가관계 알아 봅시다 (0) | 2020.09.15 |
2차전지 관련주 및 대장주 알아보기 - 부품 및 장비업체주 (0) | 2020.09.10 |
2차전지 관련주 및 대장주 알아보기 - 소재 업체(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0) | 2020.09.08 |
2차전지 관련주 및 대장주 알아보기 - 완제품 업체(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0) | 202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