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 / 2018. 9. 29. 00:57

부자들의 음모 - 대중들이 가난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이유

반응형

1. 돈의 규칙이 바뀌다.


1971년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금본위 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금본위 제도가 유지될 때에는 보유하고 있는 금의 양 만큼만 돈을 찍어낼 수 있었고 돈을 더 찍어내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금을 더 확보해야만 했습니다. 따라서 돈의 가치는 금에 의해 보증되었습니다.






하지만 금본위 제도가 폐지된 후에는 보유하고 있는 금의 양과는 상관없이 돈을 무한정 찍어낼 수 있게 되었고, 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무한정 쏟아져 나오는 돈 덕분에 경제는 호황에 접어들었고 집값 등 각종 자산 가격이 치솟으면서 많은 중산층들이 백만장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가치가 없는 돈을 무한정 찍어내면서 만들어낸 경제 호황이 영원히 갈 수는 없는 법. 거품이 꺼지고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직장과 집을 잃고 거리로 나 앉게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연방준비제도는 다시 돈을 마구 찍어내어 경기를 부양하기 시작했고 그 돈으로 파산위기에 몰린 금융기관들을 구제금융이라는 이름으로 구제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 경기부양책은 여전히 진행중입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라는 책으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는 이 책 [부자들의 음모]에서 위와 같은 스토리를 들려 주며 1971년 금본위 제도가 폐지된 후 돈에 대한 규칙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금본위 폐지 이전에는 근면성실하게 열심히 일하고 돈을 모으면 부를 쌓을 수 있었지만, 금본위 폐지 이후에는 돈의 가치가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런 방식으로는 부를 쌓을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죠.



2. 새로운 착취 시스템 




저자인 로버트 기요사키는 세금, 부채, 인플레이션 그리고 퇴직연금 이 네가지가 우리를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주범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미국의 시스템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만, 우리나라의 현실에 그대로 대입에도 잘 맞아 떨어집니다.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직장인들은 매우 열심히 일하지만 그 삶은 너무나도 고됩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을 가고 대학을 졸업하면 취직을 하죠. 월급을 받으면 많은 부분이 세금으로 빠져 나가고, 결혼할 때가 되어 집장만을 하려면 보통 대출을 받아야 합니다.


해마다 물가는 오르고, 노후를 대비해서 열심히 국민연금을 (강제로)넣지만 일할 수 있는 청장년층이 점점 줄어늘고 노인 비중이 늘어나는 지금의 인구구조상 수십년 뒤에 과연 얼마나 연금을 낸 만큼 제대로 되돌려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시스템 속에서 수십년을 열심히 일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렇게 힘들게 일했음에도 불구하고 말년에 손에 남는 것이 별로 없습니다. 무언가 잘못된 겁니다.





3. 자신만의 돈을 찍어내는 시스템을 만들어라.


이 시스템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근면성실하게 일하는 것에서 벗어나 돈을 찍어내는 자신만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것은 사업체일 수도 있고, 임대 수입을 올릴 수 있는 부동산일 수도 있고,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 혹은 책 출판을 통해 벌어들이는 인세, 또는 작곡을 하고 받는 저작권료일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산을 증식하는 방법으로서 열심히 저축을 하고, 집을 산 뒤에는 집값이 오르기를 바라며 때로는 주가 상승을 기대하면서 주식에 투자하기도 합니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이런 투자를 통해 얻는 이익을 '자본이득'이라고 일컬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자본이득을 얻기 위해 노력을 하지만 이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현금흐름 창출에 투자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업체, 임대부동산, 고배당 주식 등을 말하는 것이죠.


말은 쉽지만, 사실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가 않습니다.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당장 현름창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사고방식을 바꾸는 데에는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