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다반사 / / 2019. 9. 19. 00:17

산후도우미 신청방법과 정부지원 내용

반응형

출산이 다가오면 집에서 가사 및 육아일을 도와줄 산후도우미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안해도 상관없지만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을 받으면 생각보다 본인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에 신청하면 나쁠 것이 없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산후도우미 신청방법과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후도우미 신청방법]


출산예정일 40일전 ~ 출산 후 30일 사이에 가까운 보건소에 가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과 산모수첩을 들고 보건소에 가서 산후도우미 신청하러 왔다고 하면 안내서, 신청서를 주면서 산후도우미 신청방법을 알려 줍니다.


안내서, 신청서 읽어보고 직원이 알려주는 산후도우미 신청방법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산후도우미 신청 안내서입니다. 본인 유형 적는 란이 있고 바우처 사용기간, 산후도우미 제공업체 정보, 서비스 기간 및 시간, 서비스 종류, 이용자 준수사항 등이 적혀 있습니다.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내용]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안내서입니다. 유형별, 기간별 비용과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이 표로 나타나 있습니다. 출산 유형 및 가계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다릅니다.





저희집은 A-라-② 형이라고 알려 주더군요. 저희는 A-라-② 형 중 10일짜리로 선택을 했습니다. 서비스 비용은 112만원이고 정부 지원금이 70만 6천원이므로 본인부담금액은 41만 4천원이 됩니다.






그런데 산후도우미 정부지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지자체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지원있습니다. 지역별로 좀 다른데, 저희가 사는 곳에서는 20만원 또는 본인부담금의 90% 중 낮은 금액을 지원해 줍니다.


이 기준으로 보면 저희는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므로 41만 4천원 - 20만원 = 21만 4천원만 부담하면 됩니다.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과 지자체 지원금까지 받으면 상당히 저렴한 비용으로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산후도우미 신청방법,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고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인터넷으로 산후도우미 신청하는 방법은 서류도 많고 해서 좀 복잡합니다.






직접 가서 신청하는 방법이 훨씬 편리합니다. 그리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바로바로 물어보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죠. 그래서 인터넷 신청보다는 직접 방문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