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투자 / / 2021. 1. 29. 23:14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무엇인지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의 관계 알아봅시다

반응형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생소한 용어를 많이 듣게 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식뿐 아니라 다양한 상품들이 많습니다.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ETF, ELS 등등..

 

 

 

 

 

개별종목의 주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무엇인지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주가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채권자에게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일정가격으로 발행회사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의미합니다.

 

 

 

 

 

채권인데 나중에 그 회사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같이 딸려있는 채권이라 보면 됩니다. 전환사채도 비슷한 형태의 채권인데 다른점이 있다면 전환사채의 경우 보유한 전환사채를 신주로 교환하는 것으로서 신주를 인수하고 나면 채권은 사라집니다.

 

반면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신주인수권리와 채권이 별개입니다. 신주를 인수해도 채권은 그대로 남아 있다는 점이 전환사채와의 차이점입니다.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주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와의 관계]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와의 관계는 어떨까요? 회사의 가치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는 반비례합니다. 채권자가 신주인수를 결정하면 주식수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회사 가치가 일정한데 주식수가 늘어나면 주가는 당연히 하락하겠지요.

 

기업에서 신주인수권부 사채발행을 발표하면 주가는 단기적으로는 하락합니다. 장기적으로는 큰 의미는 없습니다. 회사가 계속 성장하면 주식수가 늘어나도 주가는 더 오를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주가는 하락하겠지요.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주가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무엇인지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과 주가의 관계 알아보았습니다. 실제 예시를 하나 보겠습니다. 아래는 메디프론의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결정 공시입니다.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주가

 

 

2020년 11월30일 80억원어치의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을 공시했습니다. 아래는 지난 3개월간의 메디프론의 주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 주가

 

 

공시 이후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12월말 1월초 주가가 잠시 반등하기도 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했습니다. 80억원이란 금액은 메디프론의 시총에 비하면 큰 규모는 아닙니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주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이렇게 주가가 하락합니다. 사채 발행이 잦은 기업일 경우 주주들의 신뢰를 잃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